아르바이트를 하면서 '주휴수당'이라는 말을 들어본 적 있으신가요?
많은 아르바이트생들이 정확한 정보를 알지 못해 당연히 받아야 할 돈을 놓치고 있습니다.
이번 글에서는 알바 주휴수당 계산을 중심으로, 지급 조건, 계산 방법, 대처 요령까지 실용적인 내용을 총정리해 드립니다.
한 주라도 제대로 챙기려면, 지금 꼭 확인해 보세요!
목차
- 주휴수당이란?
- 주휴수당 지급 조건
- 주휴수당 계산 방법
- 계산 예시
- 주휴수당 미지급 시 대처법
- 자주 묻는 질문(FAQ)
- 전체 요약
1. 주휴수당이란?
주휴수당은 1주일 동안 정해진 근로일을 개근한 근로자에게 유급휴일을 보장하고, 해당 날의 임금을 지급하는 제도예요.
쉽게 말하면, 일한 만큼 하루 더 쳐주는 임금입니다.
근로기준법 제55조에 명시된 권리로, 정규직은 물론 아르바이트생도 해당 조건만 충족하면 반드시 지급받아야 해요.
2. 주휴수당 지급 조건
① 주 15시간 이상 근무
근로계약서나 실제 근무 내역 기준, 1주 소정근로시간이 15시간 이상이어야 해요.
주 10시간 근무자는 대상이 아니지만, 주 18시간, 주 21시간이면 지급 대상입니다.
② 소정근로일 개근
정해진 요일에 결근 없이 근무해야 해요.
예를 들어 월·수·금 출근이라면, 그 세 날을 모두 빠짐없이 근무해야 개근 인정됩니다.
지각이나 조퇴도 불이익이 될 수 있으니 주의하세요.
3. 주휴수당 계산 방법
계산은 주 40시간 이상과 주 15시간 이상~40시간 미만일 때 방식이 달라요.
2025년 기준 최저시급 10,030원을 적용해 설명해 드릴게요.
● 주 40시간 이상 근무자
주휴수당 = 8시간 × 시급
→ 8 × 10,030 = 80,240원
● 주 15시간 이상~40시간 미만 근무자
주휴수당 = (주 근로시간 ÷ 40) × 8시간 × 시급
예) 주 21시간 근무
→ (21 ÷ 40) × 8 × 10,030 = 약 42,126원
예) 주 18시간 근무
→ (18 ÷ 40) × 8 × 10,030 = 약 36,108원
4. 계산 예시
[예시 1] 주 3일, 하루 7시간씩 (총 21시간)
→ 주휴수당 = 42,126원
[예시 2] 토·일 각각 9시간씩 (총 18시간)
→ 주휴수당 = 36,108원
[예시 3] 주 5일, 하루 8시간(총 40시간)
→ 주휴수당 = 80,240원
실제 시급이 다르다면 계산기(고용노동부 홈페이지 제공)를 활용해 정확히 확인해 보세요!
5. 주휴수당 미지급 시 대처법
주휴수당은 법적 권리입니다. 지급하지 않으면 임금체불로 간주돼요.
확인해야 할 것들
- 근로계약서: 근무 요일, 시간 명시 여부
- 출퇴근 기록: 스케줄표, 메시지, 교통기록 등
- 급여명세서: 주휴수당 포함 여부
대응 방법
- 사장님에게 지급 요청
- 불응 시, 고용노동부에 ‘임금체불 진정’
- 필요시 공인노무사 상담
포괄임금제라 하더라도, 주휴수당 항목이 명확히 포함되지 않으면 문제 소지가 있습니다. 꼭 명세서로 확인하세요.
6. 자주 묻는 질문(FAQ)
Q. 주휴수당은 월급에 포함되어 있나요?
→ 포함될 수 있지만, 명세서에 명확히 기재돼 있어야 합니다.
Q. 하루만 빠져도 주휴수당 못 받나요?
→ 네, 해당 주 개근이 아니면 받을 수 없습니다.
Q. 시급이 낮아 최저임금보다 적게 받으면 어떡하나요?
→ 주휴수당 포함 기준으로 최저임금 이상인지 꼭 계산해봐야 합니다.
Q. 계약서 없이 일했는데 받을 수 있나요?
→ 출근 내역이 입증되면 계약서 없이도 지급받을 수 있어요.
7. 전체 요약
- 주휴수당: 1주 개근 시 유급휴일 하루 임금 지급
- 조건: 주 15시간 이상 근무 + 소정근로일 개근
- 계산: 근무시간에 따라 비례 계산
- 미지급 시: 증거 확보 후 고용노동부에 진정 가능
- 포인트: 명세서 확인, 계약서 보관, 계산기 활용
알바를 하는 여러분의 권리는 법으로 보호받고 있습니다.
주휴수당은 ‘보너스’가 아니라 ‘정당한 임금’이에요. 지금 나의 근무 시간과 명세서를 꼭 확인해 보세요!
[면책조항]
본 포스팅은 작성자의 주관적인 경험과 의견을 바탕으로 작성되었습니다. [cite: 13] 제공되는 정보는 참고 자료로만 활용하시고, 어떠한 법적 책임도 지지 않습니다. [cite: 14] 특정 정보에 대해서는 반드시 전문가와 상의하시거나 추가적인 확인 절차를 거치시길 바랍니다.